전화 문의031-645-9191

에덴 미디어

컬처
2021-12-20

아이 웨이웨이는 살아 있다



자칫 예술은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라 여기기 쉽지만, 알고보면 이 시대 곳곳에는 여전히 날카로운 열정으로 사회를 바라보는 예술가들이 숨쉬고 있다. 에덴미디어 올해의 마지막 전시를 장식한 작가도 그 중 한 사람이다.


아이 웨이웨이는 중국 정부는 과도하고 권력을 사용하고, 군사적인 방식으로 정부의 목표를 달성하려 애쓴다고 비판한다. 권력에도 개의치 않는 그의 소신 발언 때문에 포르투갈과 이탈리아, 영국과 독일을 오가며 유럽에서 정치 난민으로 살고 있지만, 코로나 시국에도 세 편의 다큐멘터리를 완성했을 정도로 여전히 작가로서의 열정이 거대하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인전 <아이 웨이웨이: 인간미래>(~2022.4. 17)에서는 그의 이런 열망을 재차 확인할 수 있다.


중국의 정치와 사회, 문화적 상황 등을 세심하게 관찰, 자신만의 풍자적 스타일로 재해석하는 작가 아이 웨이웨이. 회화와 사진, 영상, 건축, 공공미술, 도자, 출판 등 매체의 경계를 허물 뿐 아니라, 블로그나 트위터, 유튜브 등 온라인 미디어를 통해 적극적으로 소통하기 때문에 디지털 시대 선국적인 예술가로도 분류된다. 작가이자 영화감독, 건축가(세계적인 건축가 헤르조그&드 뫼롱과 함께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경기장 설계 프로젝트에 참여), 심지어 ‘행동가‘로 정의되는 그는 자국을 풍자하는 작품으로 유명한데, 그 중에서도 표현의 자유와 난민의 삶을 주제로 다양한 작품을 선보인다. 사실 중국 사회문제를 비판하는 작가들은 많지만 아이 웨이웨이가 중국을 대표하는 작가로 알려진 이유는 중국을 비롯한 각국의 사회문제를 예술가라는 입장보다 마치 ‘기자‘라는 관점에서 포괄적이며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디 때문이다. 그는 단순히 지금의 시대를 비판하기 보다 과거를 통해 현재를 돌아보고 더 나은 미래를 지향한다. 이번 전시 <인간미래>도 그의 예술 세계 화두인 ‘인간‘과 그의 예술 활동의 지향점인 ‘현재보다 나은 미래‘를 결합시킨 것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1957년 베이징에서 태어난 아이 웨이웨이는 1981년 뉴욕으로 건너가 마르셀 뒤샹, 앤디 워홀 등 작품을 접하면서 현대미술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확립해갔다. 그 후 베이징으로 돌아와 활동했지만, 2015년부터 유럽에 체류하며 주로 난민을 주제로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은 이번 전시 포스터.

사진. 아이 웨이웨이 스튜디오 © Ai Weiwei Studio.


아이 웨이웨이의 국내 미술관 첫 개인전인 만큼, 이번 국립현대미술관 전시에는 설치와 영상, 사진, 오브제 등 대표작 120여 점이 방문객들을 기다린다. 저항적이고 체재 비판적인 작업 때문에 중국의 블랙리스트에 이름이 오른 그는 체포와 가택연금, 구속의 나날을 보내다 2011년에는 탈세 혐의로 구금되며 여권을 빼앗겼다. 4년 만에 여권을 돌려받으며 현재의 포르투갈에서 머물고 있는 아이 웨이웨이의 작품은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단순히 그리고 찍고 만드는 행위를 넘어 작품을 기획하고 완성하고 마지막에 전시장에 그것을 놓기까지의 진행 과정 또한 작품의 맥락을 이해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요소들. 이번 전시를 위해 국립현대미술관 마당에 설치한 높이 6미터의 대형 설치작품 ‘나무‘(2015)에도 나타난다. ‘나무‘는 중국 남부 산악지대에서 수집한 은행나무와 녹나무, 삼나무 등 죽은 나무 가지와 뿌리, 그루터기를 조합한 것으로 서로 다른 개인이 하나의 사회로 어우러지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작가는 ‘서로 같지 않아도 어울릴 수 있는 사회가 이상적인 사회‘를 나무로 표현했다. 이번 전시에서 가장 스케일 넘치는 ‘옥의(2015)‘는 중국 한나라 시대 황제의 무덤에서 발견된 옥으로 된 갑옷에서 유래한 작품. 무덤 속 유물을 천장이라는 높은 공간으로 끌어올렸다는 점이 매우 신선하고 독특하다. 이 외에도 신석기 시대 토기와 옥, 중국 장시성 북동부에 있는 도시 징더전의 도자기 등 중국 역사와 찬란한 문화유산을 현대미술과 결합한 다양한 작품으로 전시장 곳곳으로 압도했다.



(좌)나무(2015), (우) 옥의(2015)


아이 웨이웨이의 이름을 가장 널리 알렸던 작품 ‘원근법 연구, 1995-2011‘도 전시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권력을 조롱하고 억압에 저항한 작가의 대표작인 이 작품은 1995년에 시작한 프로젝트로 중요한 장소나 공간, 건축물을 배경으로 가운데 손가락을 들어올린 채 촬영한 사진 작품이다. 중국의 역사를 대표하는 천안문 광장, 미국의 중심 권력을 상징하는 백악관, 전세계인들이 사랑하는 파리 에펠탑 등을 배경 삼아 손가락을 이용해 노골적인 욕을 서슴지 않는 이 작품은 그의 예술이 얼마나 개방적이며 열려있는지 보여준다. 나약한 한 인간이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고, 그 안에서 탐구한 휴머니즘의 결과를 시각화한 이 작품을 통해 작가는 표현의 자유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보통 표현의 자유는 좁은 의미로 정치환경이나 체제 안에서 개인이 실제로 표현할 수 있는 범위라 여겨지지만, 더 중요하게 표현의 자유는 생명 본연의 속성입니다. 표현의 자유가 없다면 생명의 중요한 특성, 인간으로서의 특성이 사라지게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표현의 자유는 인권의 기본적 가치입니다.“ 이번 전시를 기념해 보내 온 작가의 답변은 미술 애호가들 뿐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진중한 질문을 던진다.


원근법 연구, 1995-2011(2014), 흑백 및 컬러 프린트, 가변설치, 25점의 에디션 +5AP

아이 웨이웨이 스튜디오와 베를린 노이거리엠슈나이더 제공


자국에서 쫓겨나 정치 난민으로 살고 있는 아이 웨이웨이는 늘 “나 사진이 바로 국제 이슈“이며 “작품의 소재“라고 말한다. 자전적인 성격이 강한 작품 중 하나는 ‘라마처럼 보이지만 사실 알파카인 동물‘(2015). 감시카메라와 수갑, 트위터의 상징인 ‘새’가 어우러진 작품 ‘라마처럼 보이지만 사실 알파카인 동물‘은 구금생활을 하며 CCTV에 감시 당하는 동안 작가에게 외부와 연결하는 통로가 되어준 트위터와 카메라 등의 요소를 조합해 만든 이미지다. 사실 CCTV는 쇼핑몰, 엘리베이터, 지하철, 도로 등 우리 삶 주변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작가처럼 의도적인 감시를 위한 것이 아닐지언정 결국 우리 모두 누군가의 감시를 받고 있다는 것을 일깨우는 셈. 아름다운 금빛 장식 벽지를 떠올리게 하는 이미지가 그래서 더욱 이질적으로 느껴진다.


라마처럼 보이지만 사실 알파카인 동물(The Animal that Looks Like a Llama but is Really an Alpaca)(2015).

사진 아이 웨이웨이 스튜디오 © Ai Weiwei Studio.


그리스 레스보스 섬에서 난민들이 벗고 간 구명조끼 140벌을 연결해 만든 설치 작품 '구명조끼 뱀'(2019)과 두 명의 경찰에 둘러싸인 순간을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조명‘(2009)도 아이 웨이웨이의 상황이나 그의 활동을 단도직입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난민들의 구명조끼로 만든 ‘구명조끼 뱀‘은 성인용 구명조끼부터, 어린이용 구명조끼까지 두루 사용되었기에 뱀의 머리 부분은 크게, 뒤 꼬리 부분은 작은 형태로 완성되었다. 지구 한 편에선 일상의 삶이 지속되고 있지만 다른 반대편에선 이 시간에도 정치적인 이유로 터전에서, 때론 바다를 유영하다 죄없이 사그라진 생명이 있다는 현실을 물질적인 소재로 구현해냈기에 이 작품은 특히 아름다우면서도 숙연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사진 작품 ‘조명‘도 마찬가지다. 작가는 2008년 쓰촨 대지진 발생 후 시민조사단을 결성해 피해자 가족과 관리인, 노동자들을 인터뷰하고 죽은 아이들의 이름과 숫자를 집계해 자신의 블로그에 올렸다. 또 현장에서 촬영한 영상을 모아 무료로 배포했다. 작가의 블로그는 2009년 5월, 정부에 의해 폐쇄당했지만 작가는 트위터와 유튜브에서 활동을 이어나갔다. 작품 ‘조명‘은 2009년 8월 12일 아이 웨이웨이가 탄줘런의 재판에 참석하기 위해 청두에 갔을 때 새벽 5시, 호텔 엘리베이터에서 음악가 주오샤오 주저우와 함께 경찰에 둘러싸인 순간을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것이다. 이렇듯 급진적인 활동가의 모습을 보인 아이 웨이웨이를 중국 정부는 결국 쫓아냈고, 그는 ‘중국 최고의 논쟁작가 중의 한 명’이란 수식을 얻게 됐지만, 표현의 욕구에 충실한 그의 이런 담대한 행보는 작품으로 길이 남아 전시장을 찾는 관람객에게 예술적 동화와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좌)구명조끼 뱀(2019), 아이 웨이웨이 스튜디오, 리손갤러리, 베를린 노이거리엠슈나이더 제공. 사진 김윤재 ©Kim YoonJae

(우)조명(2009), 아이 웨이웨이 스튜디오, 리손갤러리, 베를린 노이거리엠슈나이더 제공. 사진 아이 웨이웨이 스튜디오 © Ai Weiwei Studio.


사진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김이신 <아트 나우> 편집장

<아트 나우> 편집장. 매일경제신문사 주간지 <시티라이프>,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마담휘가로>를 거쳐 현재 <노블레스> 피쳐 디렉터와 <아트나우> 편집장을 맡고 있다. 국내 아트 컬렉터들에게 현대미술작가 및 글로벌 아트 이슈를 쉽고 친근하게 전달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2018-2019 아티커버리 전문가 패널, 2018-2019 몽블랑 후원자상 노미네이터를 역임했다.